-
남북은 13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9월 안 평양’에서 3차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는 올해 4.27 판문점선언에서 명시된 “당면하여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가을 평양을 방문하기로 하였다”를 실천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로써 문재인 정부 들어 올해에만 4.27, 5.26에 이어 ‘9월 안’ 3차 남북정상회담 개최가 사실상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8.15 05:10
-
북한이 서해 위성발사장 해체 작업을 이미 시작했다는 보도에 이어, 평양 인근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조립시설도 해체한 것으로 보인다는 보도가 잇따라 나와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인 ‘38노스’는 23일(현지시각) “북한 서해 위성발사장에서 해체 작업이 시작됐다”고 밝혔으며, ‘미국의 소리’(VOA)도 25일 “평안남도 평성의 한 공장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7.26 00:41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중국을 방문했습니다.언론 보도들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날 고려항공 특별기를 타고 방중했으며, 베이징 서우두(首都)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톈안먼(天安門)을 거쳐 중국 국빈관인 조어대(釣魚台)로 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처음이지만 지난 3월과 5월에 이어 벌써 세 번째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6.19 16:54
-
6.12 북미정상회담이 끝난 지 일주일이 지나고 있는데, 회담과 합의를 둘러싼 논란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북미공동성명을 놓고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가 들어가지 않았다’, ‘북한의 비핵화 의지가 없다’느니, ‘트럼프가 너무 양보했다’, ‘북한의 승리’라고 하면서 말입니다.모두가 북미정상회담의 가치와 성과를 흠집 내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6.18 15:51
-
북한과 미국 간의 ‘세기의 담판’이 다가왔습니다.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 오전 10시 센토사 섬에 있는 카펠라 호텔에서 열릴 정상회담을 위해 싱가포르에 모두 도착하자 현장 분위기가 화끈 달아올랐습니다.이번 역사적인 회담은 70년 넘게 이어온 양국 간의 갈등과 적대관계를 매듭짓고 새로운 관계, 평화적 관계로 나아가는가 하는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6.11 10:36
-
북미정상회담이 확정됐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역사적인 첫 ‘세기의 담판’이 싱가포르 센토사섬에 있는 카펠라 호텔에서 한국시간으로 12일 오전 10시에 개최됩니다.돌이켜보면, 북미정상회담이 확정되기까지 숱한 고비와 난관이 있었습니다. 사실 백년숙적이자 불구대천의 원수로 70여년 간을 적대관계로 지내온 양국이 관계 개선과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6.07 13:02
-
김영철 북한 노동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30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뉴욕에 도착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의 방미는 클린턴 전 미 대통령 시절인 2000년 10월 조명록 북한군 차수가 워싱턴을 방문한 이후 18년 만에 미국을 찾은 북한의 최고위급 인사입니다.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북미정상회담을 예정해 놓았기에 김 부위원장의 방미 행보에 눈길이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5.31 14:30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6.12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실무회담이 북한(판문점 통일각)에서 열리고 있는 사실을 공식 확인하면서 “나는 북한이 뛰어난 잠재력을 갖고 있으며, 언젠가 경제적·재정적으로 훌륭한 국가가 될 것이라는 점을 진심으로 믿는다”며 트위터를 날렸습니다.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북한에 대해 경제지원을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사실 트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5.29 12:52
-
한반도 정세가 파란을 일으키며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6.12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난기류에 휩싸였던 북미관계에 다시 정상화의 청색불이 켜졌습니다. 두 개의 불빛, 이른바 긍정적인 쌍라이트가 켜진 것입니다.하나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두 번째 정상회담이 26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전격적으로 이뤄진 것입니다.문 대통령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5.27 12:09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가질 예정이던 6.12 북미 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한다고 24일 밝혔습니다.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당신(김 위원장)과 만나길 고대했지만 최근 당신들이 밝힌 극도의 분노와 공공연한 적대감 때문에 애석하게도 현 시점에서는 이렇게 오랫동안 준비해 온 회담을 갖는 게 부적절하다고 느낀다”며 “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5.25 05:48
-
북한이 16일 조선중앙통신사 보도를 통해 한미 공군의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 훈련을 비난하며 이날로 예정됐던 남북 고위급회담을 취소한 데 이어,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담화를 통해 “미국이 일방적인 핵포기만을 강요하려든다면 조미 수뇌회담을 재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 주목됩니다.이는 지난 6일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조선중앙통신사 기자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5.17 18:36
-
최근 한반도가 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특히 요 며칠간 상종가를 치고 있습니다. 남북을 비롯한 주변 관련국들이 결승점을 얼마 안 남겨둔 주자들처럼 ‘패싱’되거나 낙오되지 않으려고 부산하게 움직이고 있기 때문입니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7~8일 중국 랴오닝성 다롄을 전격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했습니다. 두 지도자가 40여일 만에 다시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5.09 16:54
-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둘러싸고 순항하던 북미관계에 다소 이상 현상이 일어난 듯싶습니다.북미 정상회담 장소와 날짜를 두고 리얼리티 쇼를 하듯 중계를 이어온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개봉일자를 넘기고 있습니다.트럼프 대통령은 4일 “우리는 지금 (북미 정상회담) 날짜와 장소를 갖고 있다”며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가, 하루 후인 5일에도 “시간과 장소 결정을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5.07 19:53
-
4.27 남북 정상회담은 한마디로 평화회담이었습니다. 이는 최근 한반도 정세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고 또한 5월 말-6월 초로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을 의식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회담 전부터 정부당국이나 전문가들이 공동선언에 ‘비핵화’ 문구가 들어갈 것인가?, 들어간다면 어느 수준에서 들어갈 것인가?, ‘완전한 비핵화’라는 문구가 들어가야 성공적인 회담이 되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5.03 11:53
-
남북 정상회담이 다가왔습니다. 이어 5월 말-6월 초 북미 정상회담 개최도 예정돼 있습니다. 어떤 일의 성패 여부는 사전 분위기를 엿보면 대강 감지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남북.미 3국에서 회담 성사와 성공을 위한 분위기 조성이 한창입니다.정상회담의 사전 분위기를 이끄는 것은 아무래도 북한입니다. 북측은 남측 및 미국과 상대해야 하기 때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4.26 03:36
-
북한이 병진노선의 승리를 선언하고 경제건설에 총력을 집중할 데 대한 새로운 노선을 제시했습니다. 한 마디로 새로운 노선의 선택, ‘노선 변화’를 선언한 것입니다.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20일 진행된 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3차 전원회의에서 “전당, 전국이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총력을 집중하는 것이 우리 당의 전략적 노선”이라고 밝혔습니다.북한은 5년 전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4.21 19:58
-
최근 남과 북이 무척 가까워졌습니다. 급격히 가까워진 것을 체감할 정도입니다. 이달 초 남측 예술단의 평양공연이 방송3사에서 방영돼 큰 인기를 끌면서 한때 예술단 가수들의 이름이 포털 실검 10위권을 거의 석권할 정도였습니다. 또 귀경한 남측 예술단의 방북 후일담이 간간이 새어나오면서 흥미를 더해주고 있습니다.1년 전과 비교해보면 가히 상전벽해라 할 만합니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4.13 00:31
-
김정은 위원장으로 확인됐습니다. 25일부터 특별열차를 타고 북한에서 중국으로 건너간 후 베이징에 도착해 인민대회당과 조어대(댜오위타이·釣魚臺) 등을 방문한 일행이 누군지 27일 하루 종일 세상을 들끓게 만들었는데 결국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임이 판명됐습니다. 북한과 중국이 28일 오전 김 위원장의 방중과 양국 정상회담 결과를 동시에 공개했기 때문입니다.사실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3.28 17:09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남북미 3국 정상회담’을 언급해 그 배경이 주목됩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2차 회의에서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서 북미 정상회담은 회담 자체가 세계사적인 일이다. 장소에 따라서는 더욱 극적인 모습이 될 수도 있다”면서 “진전 상황에 따라서는 남북미 3국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남북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3.22 11:41
-
북한이 핵폭탄을 쐈습니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장착한 핵탄두가 아니라 평화의 핵폭탄 말입니다. 변화무쌍하게 전진하던 한반도 정세에 극점이 찍혔습니다. 남측 대북특사단을 매개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대담한 회동 제안을 했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흔쾌히 수락한 것입니다. 지난해 두 정상 간의 험한 ‘말전쟁’을 상기한다
데스크브리핑
데스크
2018.03.10 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