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정보분석국
1. 개 요
o 북한은 경제의 정보화 실현을 위한 '국가경제 정보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 대내적으로는 인트라넷(폐쇄적 인터넷망)을 개발하여 인터넷처럼 활용하는 한편
- 대외적으로는 외국의 서버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구축하는 등 인터넷 활용기술을 축적하고 인터넷 개방에도 대비하고 있음.
2. 정보통신망(인터넷) 추진 주요 특징
□ 인트라넷 구축을 통해 산업기술정보 등 제공
o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는 내부 인트라넷을 개발하여 북한 전역에 구축, 운영해 오고 있음.
- '00년 중앙과학기술통보사가 인트라넷을 개발, 공장·기업소간 생산기술정보 제공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해 시범 운영해 오고
- '02.11월에는 북한전역에 연결망을 구축 완료하여 내각·학교 등으로 범위를 확대, 활용해 오고 있음.
※ 최근에는 일부 주요 간부가정에도 연결한 것으로 선전('03.10.19, 노동신문)
□ 경제적 수익 제고를 위해 상업용 웹 사이트 개설 확대
o 중국·일본 등 외국의 서버를 이용하여 체제선전·상업용 웹 사이트를 개설하기 시작하였으나 최근에는 경제부문의 사이트 개설을 확대하고 있음.
- 경제적 수익을 위한 전자상거래·관광홍보용 웹 사이트를 증설하는 등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음.
<경제부문에서의 주요 웹 사이트 개설 현황>
사이트명 | 개설일 | 주 요 내 용 | 비고 |
조선인포뱅크 | '99.10. | 경협 및 투자유치를 위해 한글·영어·일본어·중국어로 구성된 사이트 | 중국 |
평양타임즈 | '00.7. | 경제부문 상업용 홍보 영문 사이트 | 중국 |
실리은행 | '01.9. | 경제부문 상업용(전자우편 중계 등)사이트로 한글·영어·일본어·중국어로 구성 | 중국 |
조선관광 | '02.1. | 상업 및 관광객 유치를 위한 사이트로 영어·일본어 로 구성 | 일본 |
조선무역 | '02.12. | 외국인을 위한 인터넷 쇼핑몰 | 오스트리아 |
천리마그룹 | '03.2. | 외국인을 위한 상업 무역용 영문 사이트 | 스위스 |
조선우호협회 | '03.7. | 북한상품 판매를 위한 중국어 사이트 | 중국 |
평양국제정보센터 | '03.11 | 평양정보센터(PIC)가 생산하는 S/W판매 전문 국제 웹 사이트 | 싱가포르 |
o 북한은 인터넷과 관련 정치적 이유로 폐쇄적 정책을 견지해 오다 '00년 이후 IT산업 육성을 통한 실리보장을 내세워 개방계획을 표명해 오고 있는 바
-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적 IT기술 습득 및 IT인프라 구축을 통한 부의 창출을 강조하면서 인터넷 기술을 습득하고 있음.
※“인터넷을 통해 물질적 부의 창조가 가능”('03.8.7, 노동신문)
※“세계적으로 정보산업의 총생산액은 '90년 6천4백만달러인데 '03년에는 3조달러, 2010년에는 5조6천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00.4.29, 노동신문)
o '97년 웹 사이트(조선통신) 개설 이후 북한 전역으로 인트라넷을 구축·운영해 오고 있어 기술적으로는 인터넷 접속과 활용이 가능한 수준임.
- 지난해에는 평양전화국 인트라넷에 국가 식별도메인(kp)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 금년(2.16)부터는 외국공관, 일부 국제기구 평양 사무실 등에 위성을 이용한 외부 인터넷 유료 접속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인트라넷은 대내 자료검색, File전송, E-mail교환, 채팅 등에 활용되고 인터넷은 메신저를 활용하여 남북간 경협사업에도 활용되고 있음.
<인터넷 개방 관련 주요사업 추진 현황>
일 시 | 추 진 내 용 | 비 고 |
'97년초 | 최초의 웹 사이트 조선중앙통신(kcna.co.jp) 개설 | 일본 |
'99.10.10 | 최초의 상업용 웹 사이트 조선인포뱅크(dprkorea.com) 개설 | 중 국 |
'01.5.31 | 내부 인트라넷(INTRANET) 일부 북한 지역에 개설 운영 | 100여 기관 |
'01.10.8 | 국제 E-mail중계용 웹 사이트 실리은행(silibank.com) 개설 | 중 국 |
'02.10.5 | 내부 인트라넷 북한 전역으로 연결망 구축 완료 | 1,300여 기관 |
'03.1.7 | 독일[KCC유럽]과 상업 인터넷 추진 계약 | 100만유로 |
'03.7.13 | 국가 식별도메인 kp를 사용한 사이트(과학기술전시관) 개설 | 인트라넷 |
'03.9.19 | 차단기술 개발 이후 국제 인터넷망과의 연결 계획 표명 | |
'03.10.1 | 광케이블망 북한 전역에 시·군 지역까지 구축 완료 | |
'04.2.16 | KCC유럽-KCC간 위성을 이용한 국제무선 전용통신망 개설 - E-mail 및 외부 인터넷 검색 기능 |
3. 종합평가
o 북한은 인민경제에 대한 국가의 통일적 지도를 강화하고, 생산·경영 활동에서의 정보화를 통한 실리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경제 정보관리 체계의 구축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나
- 아직 기본적으로 컴퓨터 보급률이 저조하고 정보유통을 억제하는 체제의 특성상 관련기술 활용에는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o 그러나 IT산업 경제발전 전략과 의지에 따라 점차 개방환경으로 진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 특히 인터넷 차단기술(방화벽) 개발 이후에는 국제인터넷 접속 등 개방화 사업을 본격 추진할 것으로 보임.
※ "국제 인터넷과의 접속은 정치적·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가 있어 [광대역]시스템(차단기술)을 개발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 ('03.9.19, 이용남 무역성 부상)